자원봉사> 자원봉사 교육
➀ 자체 자원봉사 교육 계획 | ➁ 자원봉사센터 논의 (교육대상, 주제, 인원 등에 따른 진행방안) |
➂ 교육가능 여부 결정 (교육 신청서 작성 및 발송) |
➃ 자원봉사강사 연계 및 세부사항 협의 |
➄ 자원봉사 교육실시 | ➅ 교육 피드백 및 평가 |
교육
영상 감 상 |
1365자원봉사포털 자원봉사 교육자료 접속 |
![]() ▶ QR코드를 스캔하세요 |
|
«자원봉사
교육자료» 8가지 영상 중 3가지 영상 감상
|
|
결과지 제 출 |
구미시자원봉사센터 홈페이지 서식자료실 “교육결과지”(양식) 다운로드 및 작성 후 이메일/팩스 발송
|
※자원봉사활동 전 기본교육은 의무사항 ※1365자원봉사포털 www.1365.go.kr 에 사전 가입되어 있어야하며, 1인 1회에 한해 성실히 결과지에 응답할 시에만 교육실적이 인증됩니다. |
※ 봉사활동 전 봉사자들이 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위험을 예방하고,
효과적으로 대처하기
위하여
자원봉사 기본(안전) 교육은
필수
사항입니다.
① | 플로깅 전 몸풀기 | 본격적으로 봉사활동을 시작하기 전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허리, 종아리 등의 근육을 풀어주면 경련 등의 사고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. |
② | 장갑 및 집게 이용하기 | 쓰레기 중에는 유리, 플라스틱 조각처럼 뾰족한 물체가 많기 때문에 맨손으로 주울 경우 부상 위험이 있습니다. 장갑이나 집게같이 손을 보호할 수 있는 장비를 활용해 주세요. |
③ | 낙상 및 미끄럼 주의 | 바닷가나 개천과 같이 물기가 있는 지역에서 플로깅을 하는 경우엔 특히 미끄러짐에 유의해야 합니다. |
![]() |
플로깅 안전 가이드 교육영상/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(https://myip.kr/RGetA) ▶ QR코드를 스캔하세요 |
① | 음식 운반 중 대화 자제 | 봉사 중 음식을 운반하거나 다룰 때는 뜨거운 국이나 물이 흘러넘칠 수도 있기 때문에 타인과의 대화는 잠시 멈추고 주의를 기울여 주세요. |
② | 용기 운반 시 공동 작업 | 무겁거나 뜨거운 배식 용기를 옮길 때는 혼자가 아닌 주변 자원봉사자에게 도움을 요청해 함께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. |
③ | 미끄럼 방지 장화 착용 | 조리실은 물이나 국물 등으로 바닥이 미끄러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장화 등을 착용해 미끄러짐에 주의해야 합니다. |
![]() |
조리봉사 안전 가이드 교육영상/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(https://myip.kr/FsJKp) ▶ QR코드를 스캔하세요 |
① | 보호 장구 착용 | 공사가 진행 중인 곳은 구조물이 머리 위로 떨어지거나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모, 안전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항상 착용해야 합니다. |
② | 낙상 사고 주의 | 사다리를 이용해 위로 올라갈 때는 발을 헛디디지 않도록 타인과의 대화를 멈추고 작업에 집중해 낙상에 유의합니다. |
③ | 감전 사고 주의 | 전기 제품의 단전 상태를 확인하고 피복이 벗겨진 상태라면 반드시 교체해 주세요. |
![]() |
집수리 봉사 안전 가이드 교육영상/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(https://myip.kr/RgccZ) ▶ QR코드를 스캔하세요 |
① | 주변 살피기 | 교통정리는 대부분 4차선, 교차로 등 차량 통행이 많은 곳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늘 주의를 기울이고 집중해야 합니다. |
② | 안전 조끼 착용 | 밤에 교통 정리 봉사를 진행할 경우 운전자의 시야에 잘 보일 수 있도록 형광, 야광 등 반사 기능이 있는 안전 조끼를 꼭 착용해야 합니다. |
③ | 도로 상태 확인 | 차량 이동이 많은 도로에는 아스팔트 조각, 도로 파임 등의 위험요소가 많기 때문에 봉사 전 도로 상태를 꼼꼼히 확인해주세요. |
![]() |
교통 정리 봉사 안전 가이드 교육영상/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(https://myip.kr/sZVhg) ▶ QR코드를 스캔하세요 |
① | 보호 장구 착용 | 재난복구 환경에서는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머리 위로 떨어지거나 감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안전모, 안전 장갑 등의 보호 장구를 항상 착용해야 합니다. |
② | 유의사항 숙지 | 봉사 전 담당자의 지시와 유의사항을 잘 숙지한 뒤, 돌발행동을 최소화하고 정해진 범위 내에서만 안전하게 봉사해주세요. |
③ | 미끄러짐 주의 | 봉사 중에 토사물 더미에 휩쓸려 타박상, 골절 등의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타인과의 대화를 자제하고 복구 작업에만 집중합니다. |
![]() |
재난재해 봉사 안전 가이드 교육영상/한국중앙자원봉사센터 (https://myip.kr/KHBpU) ▶ QR코드를 스캔하세요 |
① | 자상 |
- 가벼운 물체에 찔린 경우 족집게 등으로 이물질 제거 후 거즈나 천을 대고 압박 - 깊게 박힌 경우 병원 방문해 치료 |
② | 화상 |
- 찬물로 10~15분 정도 환부 식히기 - 물집이 생겼을 경우 터뜨리지 말고 병원 방문해 치료 |
③ | 낙상 |
- 낙상 부위에 특별한 상처나 붓기가 없어도 병원 방문해 검진 - 손상 부위를 고정한 채 119 구급대에 도움 요청 |
④ | 감전 |
- 사고 발생 시 전원 차단 - 감전된 사람 발견 시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로 감전된 사람과 전선 분리 |
⑤ | 탈진 |
- 수시로 물과 이온음료 등을 섭취해 수분 보충 - 젖은 수건 등으로 체온 낮추기 |
자원봉사센터에 사고사실 통보 | 자원봉사센터 방문 및 서류작성 및 제출 | 종합보험 시스템에 사고접수(봉사센터) | 보험처리 과정 및 결과안내, 지급 |